
결혼식 연출에 쓰는 에어텐트
결혼식 장소 연출에서 에어텐트가 주목받는 이유는 설치 속도와 공간 가변성 때문이다. 비가 오거나 바람이 불 때 빠르게 덮개를 만들 수 있고, 투룸텐트처럼 구획을 나눠 하객 라운지와 신랑신부 전용 공간을 분리할 수 있다.
리조트형 웨딩에서 객실이나 야외에 키즈텐트를 연결해 어린이 놀이공간을 마련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수트라하버 같은 패밀리 프렌들리 리조트의 사례는 결혼식 손님 중 가족 단위 참석자를 배려한 연출 아이디어로 참고할 만하다.
색상과 재질 선택은 사진 결과물과 직결된다. 쿠디 등 브랜드의 투톤 옵션처럼 톤을 맞춰 포토존과 조화시키면 촬영 효율이 높아진다. 작은 디테일 하나가 결혼식 전반의 분위기를 좌우하므로 사전 시뮬레이션을 권한다.
에어텐트 종류별 선택 가이드
에어텐트 선택은 사용 목적으로 시작해야 한다. 야외 리셉션용은 대형 에어텐트가 유리하고, 이동성과 설치 시간이 중요한 elopement이나 미니웨딩에는 초경량텐트가 적합하다. 투룸텐트는 수면 공간과 공용 공간을 분리하는 용도로 결혼 당일 리허설 스태프 숙소로도 활용된다.
겨울 결혼식이라면 겨울캠핑용 사양을 검토해 방한성과 결로 방지 기능을 확인해야 한다. 차박도킹텐트는 자동차와 연계한 드라이브 인 웨딩 콘셉트에서 유용하며, 코스트코주차천막 같은 저가형 천막은 비용 절감용으로 쓰되 난연성·방수성 점검이 필수다.
선택 체크리스트 5가지로 정리하면 용도, 내풍성, 방수·난연 등급, 설치시간, 사후지원이다. 킨텍스 등 박람회나 브랜드 전시에서 쿠디, 어반사이드, 포레니아, 캠빌 같은 에어텐트 모델을 비교해 직접 접고 펴보는 것을 추천한다.
현장 설치와 안전 체크리스트
현장 설치는 안전이 최우선이다. 설치 전 바람 예보와 지반 상태를 확인하고, 고정 방식은 말뚝, 웨이트(모래주머니) 등 복수의 방법을 병행해야 한다. 응급 탈출 경로를 확보하고 가림막 위치가 비상구를 가리지 않는지 점검한다.
전기와 난방 설비는 별도 점검이 필요하다. 전선은 방수형 커넥터를 사용하고 접지 처리하며, 겨울철 난방기 사용 시 환기 확보와 일산화탄소 감시를 병행해야 한다. 무대 조명이나 음향장비 배선은 전문가에게 맡겨 화재 위험을 낮춘다.
사전 테스트는 설치 48시간 전 완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비 키트(수선용 본드, 추가 밸브, 예비 펌프), 설치 매뉴얼과 연락 가능한 기술자 명단을 현장에 비치하고, 보험과 장소 허가 사항을 사전에 확인하면 돌발상황 대응이 수월해진다. 박람회에서 만난 공급사와 기술 협업을 검토하면 행사 당일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